생리대에는 종류가 다양한데요. 일반 생리대, 탐폰, 생리컵, 생리 팬티 등 생리대는 종류별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일반 생리대는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져있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생리컵이나 탐폰은 특정적으로 이 제품을 찾는 사람들만 그동안 구매를 해왔어요. 그러고 나서 나온 생리 팬티. 생리 팬티는 생리기간에 팬티처럼 착용하는 기능성 속옷인데 요즘은 생리 팬티도 시중에 판매되고 있지만 생리 팬티를 사용해보신 사람들은 잘 없으신 것 같아 이에 관해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생리 팬티
생리 팬티는 흡수력이 좋은 소재를 사용해 만들어졌고 생리기간에 입을 수 있는 팬티입니다. 생리기간 뿐만 아니라 분비물이 많은 날에도 입을 수 있어요. 생리팬티를 단독적으로 착용해도 되지만 탐폰이나 생리컵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혹시나 셀염려를 대비해 보완용도로 입기도 합니다.
생리팬티는 일반 팬티와 착용감도 비슷하고 생리량이 적은 날은 8시간~12시간마다 교체해주면 되고 양이 많은 날은 팬티를 3~4장씩 교체해주면 됩니다.
생리 팬티의 장점
1. 몸에 해롭지 않다
가장 큰 장점은 무독성이고 여성의 몸에 해가 될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그동안 일반 생리대가 여성의 몸에 좋지 않고 피부 경피독으로 화학물질이 들어와 호르몬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는 가장 큰 장점이 있습니다. 생리대 유해물질, 발암물질, 방사능 등 이슈에서 자유로울 수 있고 다 사용해 갈 때쯤 수시로 구매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없습니다.
2. 편안한 착용감과 축축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일반 팬티와 다를 게 없기 때문에 편안한 착용감이 좋고 생각과 달리 축축한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우리는 보통 생리 팬티에 생리가 묻으면 축축해질 것이라 생각이 되는데 흡수력이 좋고 면이 방수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어 있어 생리가 샌다거나 축축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또 편안한 착용감과 뛰어난 흡수력으로 셀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되니 생리기간에 운동이나 스포츠를 즐길 수 있습니다.
3. 친환경적 제품이다.
생리 팬티는 일반 생리대와 탐폰과 같이 수시로 교체하고 바꿔주어야하는 것이 아니기때문에 쓰레기가 나올 염려도 없고 친환경적으로 사용가능합니다. 팬티처럼 착용했다가 옷처럼 빨래할때 빨아주면 되니까 자연친화적인 제품이지요. 플라스틱 폐기물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환경 보존에 도움이 됩니다.
생리팬티는 약 2년 정도 사용 가능한데 오래 입으려면 잘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생리 팬티의 단점
1. 가격이 비싸다
생리 팬티는 한번 구매하고 약 2년 정도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보면 일반 생리대나 탐폰보다 저렴할 수 있지만 한번 처음 구매할 때 비싼 가격으로 구매하여야 합니다.
2. 생리 얼룩을 확인하기 어렵다.
생리 팬티는 검은색이나 회색 등 짙은 소재의 색깔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때문에 생리가 묻고 나서 빨아낸다고 해도 생리혈이 제대로 다 졌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제대로 빨았다 생각해도 덜 빨린 경우가 있을 수 잇고 얼룩이 덜 졌을 수 도 있는데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생리팬티 세탁법(찬물에 생리 팬티를 담가놨다가 핏물 제거 후 손빨래 또는 세탁기로 세탁)에 대해 잘 숙지하셔서 세탁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3. 양이 많은 날은 3~4번 생리팬티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생리팬티는 생리양에 따라 오버나이트 등 종류가 다양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리양이 아주 많은 날은 3~4번 정도 생리팬티를 교체해주어야 합니다. 외부 활동중에 바지를 벗고 생리팬티를 교체한다는게 많이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지금까지 생리팬티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장점이 더 많다고 생각되시는 분은 생리팬티를 구매하시면 되고 단점이 더 많다고 생각되시는 분은 기존에 본인이 사용하시던 방법을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꾸 얼음이 먹고 싶은 이유는? (빙식증) 빈혈환자가 얼음을 더 찾는다? (0) | 2022.08.07 |
---|---|
덥다고 얼음 깨먹지 마세요. 얼음 깨먹는 습관(빙식증) (0) | 2022.08.07 |
성인 남자, 여자 평균 키, 몸무게는 어떻게 될까? (통계청 자료) (0) | 2022.08.05 |
물놀이 때 콘텍트렌즈를 착용하시면 안되요~ (0) | 2022.08.04 |
여름철 장염과 겨울철 장염의 차이 (0) | 2022.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