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꿀잠에 돈을 쓰는 트렌드 변화 '슬리포노믹스'

by #앤드&*@§※ 2022. 5. 10.

안녕하세요. 지난번 2022년 트렌드 용어로 '헬시 플레저'에 이어 '슬리포노믹스' 들어보셨나요?

헬시 플레저는 헬시 플레져(Healthy Pleasure)는 건강(Health)과 즐거움(Pleasure)의 합성어로 즐거운 건강관리를 의미한다고 했었죠? 


MZ세대의 새로운 건강 관리 트렌드 '헬시 플레져' (tistory.com)

슬리포노믹스(Sleeponomics)란?

슬리포노믹스는 현대인들이 숙면을 잘 취하기 위하여 많은 돈을 지출하기 시작하면서 성장하고 있는 관련 산업들을 이르는 말입니다. 잠(Sleep)과 경제(Economics)의 합성어로 수면 경제라고도 불립니다. 

 

 

슬리포노믹스(Sleeponomics)의 등장 배경

과거 먹고살기 바쁜 시대에 비해 자기 자신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짧게 자더라도 꿀잠이라고 불리는 질 좋은 수면을 취하기 위하여 돈을 쓰고 그로 인한 경제가 활성화되는 것이 슬리포노믹스의 등장 배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슬리포노믹스의 시장이 덩달아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수면산업협회의 "2016년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수면산업은 수면 개선 생활용품, 숙면 유도 기능성 침구류, 수면 보조 의료기기, 숙면 기능 IT기기 등으로 나눠지고 우리나라 2016년 수면 관련 시장은 약 1조 7000억 수준으로 미국이나 일본 등 수면 관련 규모 약 20조에 가깝게 발달한 나라에 비하여 더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면산업의 발달

 

수면산업 기계의 발달

4차 산업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을 접목한 슬립 테크(Sleeptech) (수면 상태를 분석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제품이 등장하고 이와 더불어 수면 보조 의료기기로 산업의 영역이 넓어지고 있습니다. 

또 누워있는 매트리스 내부의 삽입된 수십 개의 칩 센서가 사람의 심박수, 수면상태나 호흡 상태를 파악해 온도를 조절하여질 좋은 수면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켜주는 기계가 등장하고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일상생활 속 심박수 체크, 호흡체크로 혈중 산소 포화도 및 수면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결방법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기능성 수면 영양제, 음료, 젤리 등의 매출 증대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하는 회사는 썸 트렌드가 분석하기로 지난 3개월간 전년 대비 76.36% 수면 영양제가 언급되었다고 파악하였습니다. 또 아이허브는 수면 영양제의 주요 제품 판매율이 최소 85%~200%까지 증대되었으며 영양제 외 보디 오일, 에센셜 오일, 라벤더 티, 바디로션과 같이 각종 수면 상품들의 판매도 2배 이상 증가하였다고 나타냈습니다. 

 

숙면 뷰티 제품 마케팅 활발

뷰티업계는 이에 발맞춰 수면팩을 출시하기도 했고, 숙면 뷰티를 내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수면팩은 숙면효과를 도와준다고 하며 라벤더 핸드크림, 친환경 안대 등 다양한 아이템을 출시하여 마케팅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먹고 바르고.... 꿀잠을 위해 돈을 소비하는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장 트렌드에 맞춘 건강관리 비법이 다양해지고 있음을 느끼게 되네요. 

오늘 하루는 모두들 꿀잠 주무시길 바랄게요.

 

댓글